본문 바로가기
Kubernetes

Kubernetes Service의 EXTERNAL-IP 미할당 문제 해결하기 - NodePort와 LoadBalancer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

by Antraxmin 2024. 12. 9.

EKS 클러스터 Service에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 IP가 제공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했다. kubectl get svc 명령을 실행했을 때, Service의 EXTERNAL-IP<none>으로 표시되며, 외부 클라이언트가 애플리케이션에 접근할 수 없는 상태였다.

NAME             TYPE        CLUSTER-IP      EXTERNAL-IP   PORT(S)          AGE
k8s-ssh-server   NodePort    10.100.218.81   <none>        2222:30771/TCP   6s
kubernetes       ClusterIP   10.100.0.1      <none>        443/TCP          44h

 

이 문제는 클러스터를 구성하던 중 나의 실수로 발생했다. 초기에는 Service를 LoadBalancer 타입으로 설정했지만, 중간에 설정 변경 과정에서 NodePort 타입으로 바꾼 적이 있었다. 당시에는 외부 접근이 필요 없다고 판단했으나, 이후 외부 클라이언트에서 접근해야 하는 요구사항이 생기면서 문제가 발생했다. NodePort 타입으로 설정되어 있어 외부 IP를 제공하지 않았고, 이를 LoadBalancer 타입으로 변경하여 해결할 필요가 있었다.

 

다만 단순히 NodePort를 LoadBalancer 타입으로 변경하는 해답을 설명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이번 글에서는 Kubernetes Service의 타입 선택과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활용 방식에 대해 설명하고, 문제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Kubernetes를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공유하고자 한다. 

 

NodePort와 LoadBalancer 타입의 차이

Kubernetes에서 Service는 애플리케이션에 접근하기 위한 네트워크 엔드포인트를 제공한다. Service 타입에는 여러 종류가 있으며, 그중 NodePortLoadBalancer의 주요한 차이는 다음과 같다. 

1. NodePort 

NodePort는 Kubernetes Service의 한 종류로, 클러스터 외부에서 애플리케이션에 접근할 수 있도록 각 노드에서 지정된 포트 범위를 열어 외부 트래픽을 Pod로 라우팅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기본적으로 NodePort는 클러스터의 모든 노드에서 특정 포트(기본 범위는  30000~32767)를 열어두며, 외부 사용자는 이 포트를 통해 노드에 접근하게 된다. 이를 통해 클러스터 내부뿐만 아니라 외부에서도 애플리케이션에 접근할 수 있다. 

 

특징으로는 사용자가 클러스터 외부에서 애플리케이션에 접근하기 위해 노드의 IP 주소와 NodePort를 알아야 한다는 점이 있다. 그러나 NodePort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로드밸런서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외부 클라이언트는 직접 노드의 IP 주소와 포트를 사용해야 한다. 이로 인해 설정과 관리가 복잡해질 수 있다. 

만약 오토스케일링과 같이 클러스터의 노드가 변경될 경우, 노드의 IP 주소가 바뀌기 때문에 안정적인 외부 접근이 어려워진다. 또한 NodePort는 DNS 이름을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변경된 노드 IP를 계속해서 수동으로 관리해야 하는 점이 비효율적이다. 이러한 이유로 NodePort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외부 트래픽을 처리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2. LoadBalancer 

LoadBalancer 역시 Kubernetes Service의 한 종류로, 클라우드 환경에서 외부 트래픽을 클러스터 내부의 Pod로 안정적으로 라우팅할 수 있도록 설계된 방식이다. LoadBalancer 타입은 클라우드 제공자가 자동으로 로드밸런서를 생성하며, Service에 외부 IP 주소 또는 DNS 이름을 할당한다. 이를 통해 외부 클라이언트는 로드밸런서를 통해 Kubernetes 클러스터 내부의 Pod에 접근할 수 있다.

LoadBalancer 작동 원리

따라서 AWS, GKE와 같은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에서 활용하기에 적합하고, 클러스터의 노드 상태와 관계없이 로드밸런서를 통해 외부 트래픽을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클라우드 제공자가 외부 IP 주소나 DNS 이름을 자동으로 생성하고 관리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네트워크 설정에 대해 추가적인 부담을 가지지 않아도 된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LoadBalancer 타입은 외부 접근이 필요한 Kubernetes 애플리케이션에 가장 적합한 선택으로 평가되고 있다. 

 

다시 문제 상황으로 돌아가 보자. 앞서 살펴본 NodePort와 LoadBalancer 타입의 차이와 각 타입의 특성을 이해하면, 이번 문제의 원인과 해결책이 더욱 명확해진다. 이번 상황에서는 Service를 NodePort 타입으로 설정했기 때문에 클러스터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 고정된 외부 IP가 제공되지 않았다. 이는 외부 클라이언트가 애플리케이션에 접근하려면 노드의 IP 주소와 포트를 직접 알아야 한다는 NodePort 타입의 구조적인 한계에서 비롯되었음을 알 수 있다. 

Service 타입을 LoadBalancer로 변경

반면, LoadBalancer 타입은 클라우드 제공자가 자동으로 외부 IP를 할당하고 로드밸런서를 생성하여 외부 트래픽을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따라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Service 타입을 LoadBalancer로 변경했으며, 이 변경을 통해 외부 클라이언트가 Service에 연결할 수 있는 고정된 외부 IP를 할당받을 수 있었다.


이번 문제 해결은 나에게 단순히 Service 타입을 변경하는 작업 이상의 교훈을 주었다. Kubernetes에서 Service 타입은 애플리케이션의 접근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적절한 타입을 선택하지 못하면 클라우드 환경의 장점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Kubernetes에서 Service를 설정할 때는 애플리케이션의 요구사항과 배포 환경을 면밀히 분석하여 올바른 타입을 선택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문제를 해결하면서 단순히 설정 변경 이상의 체계적인 분석이 Kubernetes와 같은 복잡한 시스템에서 정말 중요하다는 것을 느꼈다.